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영유아 보육료, 유아학비, 양육수당 지원이 어떻게 달라질까요?
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보내는 부모님들이 꼭 알아야 할 보육료·유아학비·양육수당 지원금액과 신청 방법을 자세히 정리했습니다. 2025년 변경 사항과 부모급여까지 함께 살펴보세요!
1. 2025년 영유아 보육 지원제도란?
정부는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보육료, 유아학비, 양육수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
- 어린이집 이용 시 → 보육료 지원
- 유치원 이용 시 → 유아학비 지원
- 가정에서 양육 시 → 양육수당 지급
2025년에는 지원금이 어떻게 달라질까요? 2024년 대비 부모급여 인상 및 지원 금액 조정이 이루어지며, 부모님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확대될 예정입니다.
2. 2025년 보육료 지원 (어린이집 이용 시)
(1) 보육료 지원 대상
- 만 0~5세 영유아 중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동
- 소득과 관계없이 전 계층 지원
(2) 보육료 지원 금액 (2025년 예상 금액)
연령 | 지원금액(월) |
만 0세 | 약 55 ~ 60만 원 |
만 1세 | 약 50 ~ 55만 원 |
만 2세 | 약 42 ~ 45만 원 |
만 3 ~ 5 세 | 약 35 ~ 40만 원 |
보육료 지원을 받으면?
부모님이 별도로 어린이집 비용을 내지 않고, 국가 지원금으로 보육료가 전액 지원됩니다.
(3) 보육료 신청 방법
- 별도 신청 없이 어린이집에서 자동 신청
-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
3. 2025년 유아학비 지원 (유치원 이용 시)
(1) 유아학비 지원 대상
- 만 3~5세 아동 중 유치원(국·공립·사립) 이용 아동
- 전 계층 지원 가능
(2) 유아학비 지원 금액
유치원 유형 | 지원금액 (월) |
국 공립 유치원 | 약 7 ~ 8만 원 |
사립 유치원 | 약 35 ~ 40만 원 |
※ 방과후 과정 비용은 별도 신청 가능
(3) 유아학비 신청 방법
- 입학 시 유치원을 통해 자동 신청
- 복지로 또는 정부24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
4. 2025년 양육수당 지원 (가정양육 시)
(1) 양육수당 지원 대상
- 어린이집·유치원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하는 만 0~5세 아동
(2) 양육수당 지원 금액 (2025년 예상 금액)
연령 | 지원금액 (월) |
만 0세 | 30만 원 |
만 1세 | 25만 원 |
만 2세 | 20만 원 |
만 3 ~ 5세 | 15만 원 |
부모급여와 양육수당 차이점
√ 부모급여는 0~1세 가정양육 아동에게 지급되는 현금성 지원금
√ 2025년 부모급여는 만 0세 105만 원, 만 1세 55만 원으로 인상될 예정
(3) 양육수당 신청 방법
-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
5. 2025년 보육 지원제도 변경 사항 정리
- 부모급여 인상 (만 0세 105만 원, 만 1세 55만 원)
- 보육료 및 유아학비 지원금 소폭 인상 예정
- 2025년에도 전 계층 보육료·유아학비 지원 유지
💡 보육료 vs 유아학비 vs 양육수당, 어디가 더 유리할까?
√ 어린이집 보낼 경우 → 보육료 전액 지원
√ 유치원 보낼 경우 → 유아학비 지원 + 방과후 과정 비용 추가 지원
√ 가정 양육할 경우 → 양육수당 + 부모급여 받을 수 있음
6. 2025년 영유아 보육료·유아학비·양육수당 신청 방법 총정리
지원제도 | 대상 | 지원금액 | 신청방법 |
보육료 | 만 0~5세 어린이집 이용 아동 | 약 35~60만 원 | 어린이집에서 자동 신청 |
유아학비 | 만 3~5세 유치원 이용 아동 | 국공립: 약 7~8만 원 사립: 약 35~ 40만 원 |
유치원에서 자동 신청 |
양육수당 | 만 0~5세 가정양육 아동 | 약 15~30만 원 |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신청 |
부모급여 | 만 0~1세 가정양육 아동 | 약 55~105만 원 |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신청 |
(1) 꼭 확인하세요!
- 보육료·유아학비는 별도 신청 없이 기관에서 자동 신청
- 양육수당·부모급여는 부모가 직접 신청해야 함
- 복지로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